먹거리 물가 8.4%↑, 13년여만에 최고…서민 부담 커진다

올 추석 물가는...
올 추석 물가는…(서울=연합뉴스) 한상균 기자 = 추석을 일주일여 앞둔 2일 동대문구 경동시장에서 시민들이 장을 보고 있다. 이날 통계청이 발표한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작년 동월 대비 8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5.7%를 기록했다. 2022.9.2 xyz@yna.co.kr

(세종=연합뉴스) 박원희 기자 =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세가 둔화했으나, 소득이 낮을수록 지출 비중이 큰 먹거리 물가는 고공행진을 이어간 것으로 나타났다.

라면 등 가공식품의 가격 인상과 함께 택시 요금, 전기·가스 요금의 인상도 예고돼 서민의 물가 부담은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고물가 속 장보기
고물가 속 장보기[연합뉴스 자료사진]

◇ 먹거리 물가 8.4%↑·호박 83%↑·갈비탕 13%↑…음식서비스는 30년만에 최고

5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지난달 먹거리 물가는 1년 전보다 8.4% 올라 2009년 4월(8.5%) 이후 13년 4개월 만에 최고 상승률을 기록했다.

먹거리 물가는 소비자물가지수를 지출 목적별로 분류했을 때 식료품·비주류음료와 음식서비스 부문을 각 지수와 가중치를 고려해 계산한 값이다.

2020년 가중치를 기준으로 집계했을 때 지난달 먹거리 물가 지수는 113.57, 지난해 8월은 104.80이었다.

통계청은 가계동향조사를 통해 파악한 가구의 소비지출구조를 바탕으로 일정 기간마다 물가 가중치를 조정한다.

부문별로 보면 식료품·비주류음료 상승률은 전월과 같은 8.0%로 지난해 2월(9.3%) 이후 최고치를 유지 중이다.

식료품·비주류음료에는 빵 및 곡물, 육류, 수산물, 과일, 채소, 과자, 냉동식품 등이 포함돼 있다.

자장면·설렁탕 등 주로 외식 품목으로 구성된 음식서비스의 경우 1년 전보다 8.8% 올라 1992년 10월(8.9%) 이후 최고 수준을 나타냈다.

품목별로 보면 식료품·비주류음료에서는 호박(83.2%), 배추(78.0%), 오이(69.2%), 무(56.1%) 등 채소류가 높은 상승세를 보였다.

음식서비스에서는 갈비탕(13.0%), 자장면(12.3%), 김밥(12.2%), 해장국(12.1%), 햄버거(11.6%) 등이 많이 올랐다.

[표] 먹거리 물가 추이

시점식료품·비주류음료음식서비스먹거리 물가*전년 동월 대비 증감률
원데이터원데이터지수
2022.08114.69112.20113.578.4%
2022.07113.12111.39112.348.2%
2022.06111.40110.67111.077.2%
2022.05111.49109.81110.736.6%
2022.04110.16108.85109.575.5%
2022.03109.38108.34108.914.8%
2022.02109.49107.39108.544.7%
2022.01109.10106.40107.885.5%
2021.12107.85105.38106.745.6%
2021.11107.25104.48106.005.1%
2021.10106.72103.91105.452.5%
2021.09107.87103.51105.913.1%
2021.08106.20103.09104.803.8%

* 식료품·비주류음료와 음식서비스 원데이터를 2020년 가중치 기준으로 계산한 결과

※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 자료 재가공

[그래픽] 품목별 소비자물가 상승률
[그래픽] 품목별 소비자물가 상승률(서울=연합뉴스) 원형민 기자 = 2일 통계청이 발표한 ‘8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08.62(2020=100)로 작년 같은 달보다 5.7% 상승했다. 농축수산물은 7.0% 올라 전월(7.1%)보다 상승률이 소폭 낮아졌지만, 이 중 농산물은 상승 폭이 10.4%로 전월(8.5%)보다 커졌다. 농산물 상승률은 지난해 6월(11.9%) 이후 최고 수준이다.

◇ 1분위 먹거리 지출 비중 41.7%…소득 낮을수록 부담 커져

먹거리 물가의 상승세는 서민의 시름을 깊게 하는 요인이다.

통계청의 가계동향조사에 따르면 지난 2분기 소득 하위 20%인 1분위 가구가 식료품·비주류음료에 지출한 금액은 월평균 24만7천960원, 외식 등 식사비에 지출한 금액은 14만4천442원이었다.

월평균 가처분소득(93만9천968원) 대비로 보면 지출 비중은 식료품·비주류음료가 26.4%, 식사비가 15.4%다.

먹거리 관련 지출 비중만 41.7%에 달해 전체 가구의 먹거리 지출 비중(19.0%)과 큰 차이가 난다.

소득별로 보면 2분위 가구가 24.6%, 3분위가 21.7%, 4분위가 18.9%, 5분위가 14.0%로 소득이 낮을수록 먹거리 지출 비중이 컸다.

소득이 낮은 가구일수록 먹거리 물가의 상승세가 더 큰 부담이 될 것으로 추정되는 대목이다.

서울의 한 대형마트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의 한 대형마트 [연합뉴스 자료사진]

◇ 라면값·택시 요금·전기 요금 인상 줄줄이 예고…고물가 지속 우려도

가공식품과 함께 전기·가스 등 공공요금 인상도 줄줄이 예고돼 있어 물가 부담은 더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농심은 오는 15일부터 서민의 대표적 먹거리인 라면의 출고 가격을 평균 11.3% 인상한다. 스낵 주요 제품의 가격도 5.7% 올릴 예정이다.

서울시는 중형택시 기본요금을 현재 3천800원에서 내년에 4천800원으로 1천원 인상한다는 계획이다. 거리요금과 시간요금 기준도 올린다.

오는 10월 전기요금 인상이 예고된 가운데 도시가스 요금도 올라갈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이다.

이 또한 서민의 물가 부담을 가중하는 요인이다.

지난 2분기 소득 하위 20%인 1분위 가구가 주거·수도·광열에 지출한 금액은 22만2천295원으로 가처분소득 대비 23.6%의 비중을 차지했다.

2분위는 12.4%, 3분위는 8.0%, 4분위는 7.0%, 5분위는 4.4%로 소득이 낮을수록 관련 지출 비중이 컸다.

교통도 1분위(10.5%), 2분위(7.7%), 3분위(9.5%), 4분위(9.2%), 5분위(7.4%)로 대체로 소득이 낮을수록 지출 비중이 컸다.

[표] 2022년 2분기 소득 분위별 월평균 지출 및 소득

분위별가계수지항목별금액(원)가처분소득 대비 비중
전체 평균식료품·비주류음료364,5749.2%
주거·수도·광열295,9477.5%
교통330,9658.4%
식사비386,1509.8%
처분가능소득3,942,833
1분위식료품·비주류음료247,96026.4%
주거·수도·광열222,29523.6%
교통99,05210.5%
식사비144,44215.4%
처분가능소득939,968
2분위식료품·비주류음료281,71912.5%
주거·수도·광열279,34812.4%
교통172,8297.7%
식사비271,37312.1%
처분가능소득2,250,922
3분위식료품·비주류음료349,04510.4%
주거·수도·광열268,6548.0%
교통320,0829.5%
식사비378,76511.3%
처분가능소득3,361,351
4분위식료품·비주류음료428,1548.9%
주거·수도·광열338,9957.0%
교통442,1469.2%
식사비484,31310.0%
처분가능소득4,828,978
5분위식료품·비주류음료515,8606.2%
주거·수도·광열370,3954.4%
교통620,4627.4%
식사비651,6367.8%
처분가능소득8,329,979

※자료: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

물가가 정점을 지나더라도 당분간 높은 수준을 유지할 가능성이 크다는 점도 부담이다.

고물가는 가계의 실질 구매력을 낮춰 살림살이를 더 팍팍하게 한다.

한국은행은 지난 2일 소비자물가가 발표된 뒤 가진 ‘물가 상황 점검 회의’에서 “근원물가(식료품·에너지 제외) 상승률(7월 3.9%→8월 4.0%)은 수요측 물가상승 압력이 이어지면서 외식 등 개인서비스 품목을 중심으로 오름세가 다소 확대됐다”며 “앞으로 소비자물가는 상당 기간 5∼6%대의 높은 오름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