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오 14세, 미국인 최초 새교황 선출로 기존 금기 깨…그의 행보는?
8일(현지시간) 바티칸 시스티나 성당에서 진행된 콘클라베(추기경단 비밀회의)에서 오후 6시 8분께 새 교황 선출을 알리는 흰 연기가 피어올랐다. 미국의 로버트 프랜시스 프레보스트(69) 추기경이 제267대 교황으로 선출된 것이다.
새 교황으로 선출된 로버트 프랜시스 프레보스 추기경은 레오 14세라는 세레명으로 새 교황의 자리에 올랐다. 그는 현대 카톨릭교회의 변화와 소통을 강조해온 인물로 그의 선출에 외신들은 예상을 뛰어넘는 깜짝 발탁이라는 평이 많았다. 특히, 그는 추기경으로 공식 서임된 지 1년여만에 교황으로 선출되어 더욱 놀라움을 자아냈다.

제267대 교황으로 선출된 레오 14세가 콘클라베(추기경단 비밀회의) 4차 투표에서 133표 중 80%에 가까운 105표를 얻었다. 유력 후보로 거론됐던 루이스 안토니오 타글레(필리핀) 추기경과 피터 코드워 아피아 턱슨(가나) 추기경은 거의 표를 얻지 못했다고 교도는 전했다.
앞서 이번 콘클라베에 참여한 유흥식 추기경은 “첫 투표에서 몇 분이 두드러지게 표를 얻었고, 두 번째 투표에서 더 좁혀지고, 세 번째 투표에서 확실히 더 좁혀졌다”며 “네 번째 투표에서는 (레오 14세 쪽으로) 표가 확 쏠렸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교황 선출에 필요한) 89표를 넘긴 걸로 확인되자마자 모두가 일어나 박수치고 야단이 났다”고 덧붙였다.
레오 14세가 전임자인 프란치스코 교황의 신학, 교리, 사목 방향을 계승하되 조금 더 전통과 격식에 무게를 두겠다는 신호를 보내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레오 14세 교황이나 프란치스코 교황 모두 신학적, 교리적 입장은 비슷하며, 1960년대 제2 바티칸 공의회 이래 유지되고 있는 가톨릭 교회의 입장을 이어가고 있다.
여성 부제 서품 허용을 유보했고 여성의 신부 혹은 주교 서품은 명확히 반대했으나 시노드(가톨릭 교회의 대표자 회의)에 성직자가 아닌 평신도와 여성을 참여시킨 프란치스코 교황의 방침을 레오 14세도 이어갈 것으로 전망된다.
또 기후위기 등 환경 문제 대응에 적극적인 태도와 이민자에 대한 관용적 태도 등 사회 문제에서도 같은 기조를 유지할 것으로 보이며,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와 불편한 관계가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
[Editor. Mis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