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예최신기사특집피플

이순재 별세…한국 연기사의 한 시대, 무대와 스크린에 바친 91년의 삶

배우 이순재가 향년 91세로 별세했다. 유족에 따르면 그는 25일 새벽 세상을 떠났으며, 최근까지도 드라마와 연극 무대를 오가며 활발하게 활동했으나 지난해 말부터 건강이 급격히 악화되면서 연극 『고도를 기다리며를 기다리며』 출연을 취소했고, KBS 연기대상 시상식 당시에도 수척해진 모습으로 무대에 올라 후배들의 부축을 받는 장면이 포착된 바 있다. 공연과 촬영을 병행하며 재활을 시도했지만 회복을 이루지 못한 채 삶을 마감했다.

1934년 함경북도 회령에서 태어난 그는 네 살 때 조부모를 따라 서울로 내려왔고, 호적상으로는 1935년생이다. 연기에 눈을 뜬 것은 대학 시절, 서울대 철학과에 진학한 뒤 영국 배우 로런스 올리비에의 영화 『햄릿』을 보고 배우의 길을 결심했다. 1956년 연극 『지평선 넘어』로 데뷔한 그는 1965년 TBC 1기 전속 배우로 방송계에 본격 진입하며 한국 방송사와 함께 커리어를 쌓았다.

그가 출연한 주요 드라마만 해도 『사랑이 뭐길래』(1991-1992)부터 『야인시대』, 『토지』, 『엄마가 뿔났다』 등 약 140편이 넘는다. 특히 『사랑이 뭐길래』에서 가부장적인 아버지상을 그려내며 당시 시청률 65%를 기록하는 등 대중적 반향을 일으켰다.

그는 사극 전성시대를 이끈 배우이기도 했다. 『허준』(1999), 『상도』(2001), 『이산』(2007) 등에서 묵직하고 카리스마 넘치는 연기를 선보였다. 또한 70대 이후에는 시트콤 『거침없이 하이킥』(2006), 『지붕 뚫고 하이킥』(2009) 등을 통해 기존 이미지에서 벗어난 코믹 연기로도 큰 사랑을 받았다.

그 외에도 예능 프로그램 『꽃보다 할배』(2013)을 통해 연령을 넘어선 체력과 의욕을 보여 ‘직진 순재’라는 별명까지 얻었다. 노년에도 연극 무대로 돌아간 그는 『장수상회』(2016), 『앙리할아버지와 나』(2017), 『세일즈맨의 죽음』(2017), 『리어왕』(2021) 등에서 관록의 연기를 펼쳤고, 특히 『리어왕』에서는 200분 공연 동안 방대한 대사량을 혼자 소화하며 찬사를 받았다. 2023년에는 연출자로서도 첫발을 내디뎌 러시아 문호 안톤 체호프의 희곡 『갈매기』를 대극장 무대에 올리며 자신의 영역을 넓혔다.

지난해까지도 그는 연극 『고도를 기다리며를 기다리며』와 KBS 2TV 드라마 『개소리』 등에 출연하며 연기 열정을 불태웠으며, KBS 연기대상 수상자로 역대 최고령의 기록을 세웠다. 연기자로서의 공로를 인정받아 2002년 보관문화훈장을, 2018년 은관문화훈장을 수훈했다.

그의 어린 시절은 해방과 전쟁을 겪으며 시작되었다. 해방 직후 남대문 시장에서 조부모를 도와 장사를 했고, 고등학교 1학년 때는 한국전쟁을 경험했다. 연기 활동 외에도 그는 제14대 국회의원(민주자유당)으로 잠시 정치권에 몸담았으며, 1992년 서울 중랑갑 선거구에서 당선돼 국회의원으로 활동했다. 이후 민자당 부대변인과 한일의원연맹 간사를 역임하기도 했다. 그는 또한 가천대학교 연기예술학과 석좌교수로 후진 양성에도 힘썼다.

빈소는 서울아산병원 장례식장 30호실에 마련됐으며, 유족으로는 부인 최희정 씨, 아들 이종혁 씨, 딸 이정은 씨가 있다. 발인은 27일 오전 6시 20분이며, 장지는 경기도 이천의 에덴낙원이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